ⓒPIXABAY
ⓒPIXABAY

- 화웨이, 반도체 수급 사실상 불가능…지난해 5월 이어 세 번째 제재

- 한국 기업 단기적 타격 불가피…장기적 ‘반사이익’ 가능성도

- 엔비디아, ARM 인수 소식에 한국 반도체 업계 위기감↑

[SR(에스알)타임스 김수민 기자] 중국 화웨이에 대한 미국의 반도체 제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국내 기업들의 셈법이 복잡해졌다. 단기적으로는 피해가 불가피하나 장기적으로는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중국 화웨이에 대한 미국의 추가제재가 15일부터 발효된다. 이에 따라 미국의 소프트웨어나 장비를 사용해 생산한 물품을 화웨이에 제공하려면 미국 당국의 특별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TSMC, SMIC, 소니, 마이크론 등 기업은 미국 정부의 허가 없이 화웨이와 거래할 수 없게 됐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기업도 마찬가지다.

앞서 미국은 지난해 5월부터 화웨이에 대한 수출 규제를 시작했다. 이후 인텔, 퀄컴, 브로드컴 등 반도체 기업들은 화웨이에 핵심부품 및 소프트웨어 공급을 중단했다. 구글도 화웨이에 안드로이드 OS 공급을 끊고 관련 서비스를 중단했다. 이에 화웨이는 자체 OS인 훙멍 개발로 대응했다.

지난 5월 미국은 화웨이에 대한 두 번째 수출규제를 단행한다. 미국은 자국의 기술과 장비를 활용한 외국 반도체 제조업체는 미국의 허가 없이 중국 화웨이에 반도체를 공급할 수 없도록 한다는 내용의 수출 개정을 추진했다. 이로 인해 대만 TSMC를 통해 우회하는 생산로가 막혔다. 화웨이는 중국 AP업체와 협력을 추진했다.

이날부터 시행하는 제재로 인해 화웨이는 사실상 모든 반도체 수급길이 막히게 됐다. 시스템반도체는 물론 메모리반도체까지 미국의 제재를 받게 됐다. 여기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도 대상이다. 화웨이는 비축한 재고 부품으로 최대한 버틴다는 계획이다.

미국의 화웨이 제재로 인해 국내 기업들의 셈법도 복잡해졌다. 단기적으로는 국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계에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SK하이닉스의 경우 지난해 매출 26조9,000억 원의 11.4%(3조 원)을 화웨이가 차지하고 있다. 화웨이는 또 삼성전자의 최대 고객사중 하나이기도 하다. 화웨이에 OLED 패널을 공급해온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도 이번 제재로 인해 납품할 수 없게 됐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국내 기업이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반도체 수급이 어려워진 화웨이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고, 이로 인해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기업이 점유율을 일부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통신장비 시장에서도 큰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화웨이는 현재 글로벌 통신장비 시장에서 31%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에릭슨 노키아에 이어 4위를 차지하고 있다. 화웨이의 위축으로 4개 사업자가 이 몫을 나눠가질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삼성전자의 경우 지난 7일 미국 통신사 버라이즌과 8조 원 규모의 5G 이동통신 장비 및 솔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하면서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편, 미국의 이번 화웨이 제재와 함께 엔비디아가 지난 13일 세계 최대 반도체 설계회사 ARM 인수를 발표하면서 반도체 업계에도 큰 변화가 생길 전망이다. 엔비디아의 AI 컴퓨팅 플랫폼과 ARM의 설계 능력이 합쳐지면서, AI·자율주행차 등 신사업 부문에서 강력한 시너지가 예상되고 있다.

ARM은 글로벌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설계를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삼성전자 역시 ARM으로부터 반도체 설계를 구입해 모바일 AP를 설계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경쟁 관계에 있는 엔비디아가 이번 인수를 통해 향후 라이센스 비용을 인상하는 등 정책 변화에 나서면 삼성전자에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